다른 유형의 퍼스널 케어 제형에 비해, 자외선 차단제(썬크림) 제형을 만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준수해야 할 규정이 상당히 많고, 사용할 수 있는 UV 필터 종류와 양에 제한이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 제형에 대한 추가적인 안정성 요건 및 SPF(자외선 차단 지수) 등급 유지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시작을 돕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 제형 제조법을 설명합니다. 그 다음 최종 제품을 제대로 만드는 것은 광범위한 샘플 개발의 문제니까요.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거주하는 지역에서 자외선 차단 제품이 화장품으로 규정되어 있는지, 의약품으로 규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또 모든 자외선 차단제 제품에는 ‘내수성’ 주장, 경고 문구와 특정 라벨 정보에 대한 추가 규정도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브랜드가 필수 준수 요건을 확인하고 자외선 차단제 제형에 맞는 자체 SPF 테스트를 실시했는지 확인하세요.
다음 표는 국가별 SPF를 표시하는 일반 제품에 대한 개요입니다.
자외선 차단제에는 두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조합은 많은 자외선 차단제 제형에 사용되는데, 혼합을 통해 더 높은 SPF 및 UVA 등급, 광범위한 스펙트럼 등급, 피부 사용감과 자외선 차단제 제형 안정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UV 필터는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UVA와 UVB 스펙트럼의 빛의 파장에 매우 구체적입니다. ‘광범위한 스펙트럼’으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 제형이 반드시 UVA와 UVB 스펙트럼의 대부분(290-400nm)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 제형에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 물질의 종류와 양에도 규제 제한이 있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최소 몇가지의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지 않고는 필요한 SPF를 달성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자외선 차단제 제형에 훌륭한 UV 필터를 조합했다 해도, 다음과 같은 요소가 SPF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
위의 두 그림은 모두 동일한 양의 부수적으로 들어오는 자외선(화살표로 표시)과 UV 필터(타원으로 표시)를 사용합니다. 왼쪽 그림은 UV 필터가 뭉쳐졌을 때 SPF 가 낮아지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오른쪽의 그림은 균일하게 퍼져 있어 부수적인 자외선을 최대한 차단하여 훨씬 더 높은 SPF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는 것은 다른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조하는 것과 같지 않습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 이론적으로 자외선 차단제 제형을 만든 다음, 샘플을 만들어 신중히 평가하고, 만들어진 제형을 여러 번 수정한 후 최종 제품을 테스트하여 필요한 SPF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럼 행복한 포뮬레이션 되세요!
/
글쓴이 소개 – 벨린다 칼리, 디렉터, Institute of Personal Care Science (퍼스널케어 과학 연구소)
벨린다 칼리는 Institute of Personal Care Science의 디렉터로서 화장품 배합 및 규제 문제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온라인 교육을 이끌고 있습니다. 해당 교육은 혁신적이고 규정을 준수하는 제품 개발에 대해 전문으로 합니다. Belinda는 자연 요법 학사, 미용 과학 디플로마 및 교육 및 평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보자부터 고급 수준까지의 화장품 배합과 유기농 및 색조 화장품 배합 및 브랜드 관리에 관한 5권의 책을 저술한 바 있습니다.
더 많은 인사이트를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24 에서 만나보세요. 지금 사전등록 알림신청 을 하시면 사전등록이 오픈 했을 때 가장 먼저 알려드립니다. 사전등록 무료입장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The post HOW TO 썬크림(자외선 차단제) 제형 제조법 first appeared on in-cosmetics Connect.]]>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 마케팅 트렌드 및 규제 세미나에서 Mintel의 수석 혁신 및 인사이트 분석가 Sharon Kwek이 “동남아시아에서의 뷰티 비지니스 기회”란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Sharon Kwek은 민텔(Mintel)의 동남 아시아 수석 혁신 및 인사이트 분석가로 근무 중으로, 지역 내 주요 고객들에게 지역 트렌드에 관한 견해와 뷰티 및 퍼스널 케어 범주에 관한 분석을 담당한다.
그녀는 동남아시아 지역은 글로벌 개발의 축소판이며, 기업들은 역내에서 발전과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고 한다.
민텔의 연구 및 관측을 기반으로 도시의 뷰티 트렌드에 관한 더 많은 정보뿐만 아니라, 메이크업, 스킨케어 및 헤어케어 일상에 영향을 주는 주요 분야들과 뷰티 업계 내의 혁신에 관한 정보를 얻게 될 것이다.
더 많은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2017 마케팅 트렌드 및 규제 세미나 프레젠테이션 다운로드는 Marketing-Trends-Download-presentations에서 확인하세요.
위 비디오는 인-코스메틱스 코리아 – 한국의 유일한 퍼스널 케어 원료 전문 전시회 – 2017 에서 촬영되었습니다.
전시회 관련 정보가 더 필요하시다면 korea.in-cosmetics.com에서 확인하시고 지금 바로 2018 사전 등록 신청하세요.
The post “동남아시아에서의 뷰티 비지니스 기회” by Sharon Kwek, Mintel first appeared on in-cosmetics Connect.]]>